티스토리 뷰
목차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관련항목 보기에 있는 섬.
[개설] 손죽도는 삼각형 모양의 섬으로 면적은 2.92㎢, 해안선 길이 11.6㎞에 달한다. 거문도 북동쪽 40㎞ 해상에 위치하며, 손죽열도의 중심 섬이다. 서쪽 돌출부 끝에는 무인등대가 있고, 길이 1㎞ 정도 되는 손죽해수욕장이 북쪽에 있다. 원래는 흥양현에 속하였으나 1896년 지방제도 개편 때 돌산군 삼산면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여수군에 편입되었다. 1949년 여천군에 편입되었고, 1965년 손죽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98년 여수시에 통합되었다. 400여 년 전 제주에서 고씨, 부 씨, 양 씨가 최초로 입도하여 마을을 형성하였으나 왜구들의 노략질이 심하여 육지로 피신하였고, 이후 전주이 씨, 밀양박씨, 김해김 씨 등이 다시 입도하여 거주하였다. 취락은 선착장이 있는 북쪽만 안에 주로 분포한다. 깃대봉 남쪽에 위치한 지지미고개 아래에도 취락이 발달해 있는데 지지미고개는 경사가 완만해 봄철이면 사람들이 이곳에 모여 진달래꽃으로 지짐(부침개)을 만들어 먹으며 놀던 화전놀이터이다. 유적으로는 선사문화유적지인 손죽도 조개더미와 이대원(李大源) 장군의 사당이 있다. 손죽도 선착장에서 마을로 들어가는 해안도로를 따라 약 200m쯤 가면, 마을이 처음 시작되는 민가의 담장에 깊은 바닷속 바위에서 사는 바윗굴·소라·전복·두두럭고동 등의 조개껍질이 박혀 있는 선사문화유적지가 있다. 손죽도 조개더미에서 발견된 유물로는 토기 조각과 뼈연모가 대표적이다. 이대원 장군 사당은 손죽마을 동쪽에 있으며 1587년(선조 20) 2월 17일 손죽도 앞바다에 왜구가 침입하였을 당시 녹도만호 이대원 장군(당시 22세)이 이곳 손죽도 해전에서 왜적을 맞아 싸우다 순국한 것을 기념하여 건립하였다. 매년 음력 3월 3일 숭모제(崇慕祭)를 올리고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손죽도로 가는 길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여수항에서는 하루 두 번 배가 운항하며(편도 2만 6,600원), 오전 7시 40분과 오후 1시 10분에 출발합니다. 손죽도에서 여수로 돌아오는 배는 오전 11시 20분과 오후 2시 20분에 있으며, 이동 시간은 약 1시간 20분입니다. 단, 손죽도에서 오후 배를 타면 거문도를 경유하기 때문에 약 1시간 30분이 추가로 소요됩니다.
또한, 고흥의 녹동항에서도 철부선이 운항되지만, 여러 섬을 거쳐 이동하는 관계로 여수항보다 시간이 더 걸려 약 2시간 30분이 소요됩니다. 이 노선은 매주 두 차례 왕복 운항하므로 미리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